카테고리 없음

수저계급론 금수저 흙수저 기준

게임의 모든것 2017. 11. 20. 09:00

수저계급론 금수저 흙수저 기준

어느순간 우리나라에서 돈이 많은사람은 금수저라고 부르고 못사는 사람은 흙수저라 칭하게 되었습니다. 언제부터 이런 용어가 시작하게 됐는지는 아무도 알 수없지만, 아마 알리기 좋은 유명인의 인물로 부터 시작한 계기가 존재하지 않았을까 예상이 됩니다.

정확한 수저계급론의 의미는 '부모님에게 물려받은 자산 또는 부' 란 뜻이 담겨져 있고 SNS상에서 발표한 각 해당되는 조건이 나열되어 있었습니다. 저 역시 어렸을때 흙수저인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금수저에 가까운 기준이였습니다. 생각보다 기준치가 낮은 편이더군요?

흙수저는 현시점으로 자산이 5000만원 미만 또는 가구 별 연 수입이 2000만원 미만일때 포함이 됩니다. 아래에 실제 케이스를 살펴보면 9급 및 7급 공무원시험 준비생이면서도 전세 2500만원에 해당되는 12평집에 살고있고 본인 한달 생활비 40만원 등의 예시가 있습니다. 아마 이와 비슷한 상황에 계시는 분들은 의심해보셔야 됩니다.

실제로 수저계급론은 사실이라고 밝혀졋을 정도로 대학진학률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상위권 학생들의 고소득층은 90%이상 진학을 했고 중간층 역시 80% 중반대로 보여줍니다. 그런데 제일 하위층에 있는 흙수저는 금수저와 무려 15%차이가 납니다.

성적 하위권 학생들 역시 비슷한 퍼센트입니다. 공부를 못해도 42%이상은 대학교에 입학하였고 흙수저는 불과 25%수준입니다. 공부를 잘해도 가정형편이 어려워 대학 진학을 포기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네요.

이제 돈이 많은 사람이 하도 많다보니 금수저로는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보였습니다. 이제 그이상에 있는 다이아몬드수저로 국내에서 상위 0.1%에 속합니다. 조건은 자산 30억 이상 또는 연 수입이 3억원 이상이면 속하십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 생각해보았을땐 3억원 이상 소득이 발생하는 분들이 꽤 많으실 것 같은데 이건희 회장 정도가 아니면 다이아 수저라고 논하기에는 어려워 보여요. 아마 더 높은 수저계급론이 탄생하지 않을까 예상이 듭니다.

인터넷상에서 떠돌고 있는 흙수저 빙고 게임이 있는데 한번 가볍게 해보시고 동그라미 개수 10개 넘으면 하층민이라고 불리네요. 참고로, 선택된 부분이 많을수록 흙수저에 가깝다고 합니다.